개발자 꼬부기의 성장일기
2일차 - 컴퓨터 개론, 웹 이해 본문
컴퓨터의 이해
컴퓨터: 정해진 규칙대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해서 처리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장치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
- Mac, Windows, Linux 같은 운영체제 및 Node.js, JRE와 같은 런타임환경
- 하드웨어를 관리한다.
응용 소프트웨어
- 일반적인 프로그램
하드웨어
1) 중앙처리장치(CPU)
- 제어장치
- 연산장치
- 레지스터(임시보관 기억장치)
2) 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모든 정보(큰용량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 속도가 느림. SSD, HDD
- 주기억장치 :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동안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 속도가 빠름. Ram, Rom
- 캐시메모리 : 캐시 메모리는 한번 CPU가 사용한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중, 재사용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부터 미리 불러와서 대기시켜놓는 역할
3) 입출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 스피커, 프린터 등
4) 시스템 버스
- 데이터버스 : 하드웨어간 데이터 전달하는 통로
- 주소버스 :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
- 제어버스 : 제어신호를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통로
프로그래밍의 이해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코드로 작성하는 과정
프로그램 :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 컴퓨터 명령문의 집합체.
프로그래밍 언어 : 기계어와 자연어 자이에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언어.
- 기계어와 같이 컴퓨터에 가까운 언어일수록 저수준 언어라고 하며, 반대로 Java 및 C언어와 같이 사람과 가까운 언어일수록 고수준 언어
컴파일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번역하는 과정
빌드 :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산출물로 변환시키는 과정.
빌드가 완료되어야 소스 코드가 비로소 실행시킬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완성됨.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
1) 클라이언트 - 서버 2 tier 아키텍쳐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가져온 자료를 보여주는 대상
서버는 저장된 자료를 제공
2) 3 tier 아키텍쳐
클라이언트, 서버,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가져온 자료를 보여주는 대상
서버는 저장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옴
데이터베이스는 자료가 저장됨.
3) 프론트엔드, 백엔드
프론트엔드 :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
- HTML : 웹의 구조를 그림.
- CSS : 디자인
- Javascript : 알고리즘 등 기능 구현 (상호작용)
백엔드 :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쪽
'언어공부 > [코드스테이츠] 백엔드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일차 - Java 기초(1) : 연산자, 입출력, 제어문 (0) | 2023.04.18 |
---|---|
5일차 - 변수와 타입 (1) | 2023.04.17 |
4일차 - git / github 맛보기 (0) | 2023.04.14 |
3일차 - 리눅스 OS 맛보기 (0) | 2023.04.13 |
1일차 - O.T 각오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