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언어공부/[코드스테이츠] 백엔드부트캠프 (25)
개발자 꼬부기의 성장일기
REST API REST API는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

DP(Dynamic Programing) : 한번 연산한 결과를 저장해놓고 다시 연산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개념. ex) 피보나치 수열 아래는 가장 대표적인 동전 교환 알고리즘이다. 새로운 배열을 통해 결과를 저장하고 재사용하면서 구하게 된다. 최대 50원, 사용할 수 있는 화폐는 {10,20,50} 3가지 종류일때, 1. 최대 값까지의 배열을 만든다. 2. 10이 10이될때 경우의 수, 10이 20이될때 경우의 수, 10이 30이 될때 경우의 수, 10이 40이 될때 경우의 수 , 10이 50이 될 때 경우의 수 각각 구한다. 3. 20이 20이 될때 경우의 수 => 20은 10일 때 경우의 수와 10일 때 경우의 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10과 20이 있을때 20이 되려면 경우의 수 (10,10),..
Stringify는 JSON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 JSON 데이터 JSON 데이터는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 이러한 JSON 데이터는 데이터 이름, 콜론(:), 값의 순서로 구성. 문법 "데이터이름": 값 데이터의 이름이 "name"이고, 값은 "식빵"이라는 문자열을 갖는 JSON 데이터 예제 "name": "식빵" 데이터의 이름도 문자열이므로, 항상 큰따옴표("")와 함께 입력해야 한다. 데이터의 값으로 문자열, 숫자, 불리언, 배열, 객체로 올 수 있다. 문자열 => "문자열" 숫자 => 숫자 불리언 => 불리언 객체 => [] 배열 => [] Map => {key:value} 1. stringify함수 구현하기 1-1. instanceof 연산자를 통해 모든 경우의 수로 분기시킨다. //..
입력받은 배열의 첫 요소와 마지막 요소를 키와 값으로 하는 HashMap을 리턴하라는 HashMap의 간단한 예제였다. HashMap을 지난주에 배우고 오늘 다시 상기 시켜보니 어렴풋이 정의하고 put함수까지는.. 쓸줄 알겠음 근데 문법이 약간 틀린건지 length를 쓰는게 헷갈리는 건지 에러나서 다시 찾아봄 HashMap 선언문을 이용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 //HashMap생성 가장 기본 선언법 HashMap hashmap1 = new HashMap(); //new에서 타입 파라미터 생략가능 HashMap hashmap2 = new HashMap(); //hashmap1의 모든 값을 가진 HashMap생성 HashMap hashmap3 = new HashMap(hashmap1); //초기 용량..
KPT 회고 Section 1은 독학도 했었지만 추상화 부터 좀 힘들었다. 단순한 개념만 배울때는 쉬웠는데 객체지향 기법으로 프로그래밍하기엔 아직 실력이... 모자라는 걸보며 그동안 개발자라면서 뭐했나 싶구만... 어제 배운 뒷부분은 아직 블로깅을 못했다. 블로깅후에도 계속 다시 봐야하는데 귀차니즘이... 그리고 공부는 역시 어릴때 해야.. 하는...ㅜㅜ 신입때처럼 머리가 말랑말랑해지지 않네 그래도 꾸준히가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고고 Keep 작성을 위한 질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도했던 것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 노력은 무엇인가요? 뭐니뭐니해도 매일 블로깅하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했던 모든 노력 중 반드시 유지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계속 블로깅하기 Problem 작성을 위한 질문 목표를 달성하기 위..